BFS 문제 풀이법 정리
들어가며 최근에 BFS 유형의 문제에 익숙해지기 위해 백준에서 BFS 문제들을 풀어보았다. 문제를 풀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점이 있어 이를 설명하고 풀이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볼 것이다. 코드는 파이썬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헷갈렸던 점 처음에 BFS문제를 풀면서 가장 헷갈렸던 부분은 언제 방문 체크를 해야하는지였다. 기존에 알고있던 BFS의 동작방식...
들어가며 최근에 BFS 유형의 문제에 익숙해지기 위해 백준에서 BFS 문제들을 풀어보았다. 문제를 풀면서 어려움을 겪었던 점이 있어 이를 설명하고 풀이 방법에 대해서 정리해볼 것이다. 코드는 파이썬을 기준으로 작성했다. 헷갈렸던 점 처음에 BFS문제를 풀면서 가장 헷갈렸던 부분은 언제 방문 체크를 해야하는지였다. 기존에 알고있던 BFS의 동작방식...
게임 맵 최단거리 문제 최근에 프로그래머스에서 카카오 ‘게임 맵 최단 거리’ 라는 문제를 풀다가 이게 DFS로 풀어야할지 BFS로 풀어야할지 고민을 하다 그렇다면 ‘어떤 문제를 DFS로 풀고 어떤 문제를 BFS로 풀어야할까?’ 라는 생각이 들어 이 둘을 더 알아보고, 이런 유형의 문제도 더 풀어보기로 했다. Tip 위와 같은 문제인 최단 ...
스프링 핵심원리 - 기본편 강의를 정리하는 마지막 글이다. 이번에는 빈의 생명주기와, 빈 스코프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빈 생명주기와 콜백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빈이 생성되고 사라질 때까지 거치는 특정 단계들을 말한다. 스프링 빈의 라이프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 (싱글톤 기준) 1.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2. 빈 객체 생성 3....
들어가며 저번 글에서 수동 빈으로 등록하는 방법을 알아봤었다, 이번에는 자동으로 등록하는 방법과 의존관계를 주입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자동 빈 등록 why? 수동으로 빈을 등록하면, 등록해야 할 빈의 수가 많아지면 번거롭고 누락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빈을 등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도와주는 것이 @Component와 @Com...
들어가며 이번 글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에 대해 정리를 하고, 이를 예제를 통한 실제 코드로 테스트하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예제 Class Diagram 먼저 예제의 구조는 다음 그림과 같다. 위 구조에서도 역할과 구현의 분리가 명확히 드러난다. 각 인터페이스 이름은 주문 서비스 역할은 MemberService 회원 저장소 역할은 Memb...